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문화관광

맑음
4.0 칠곡군

미세먼지(좋음) 초미세먼지(좋음)

소풍같은 여행도시 칠곡 관광

왜관지구전적기념관
여행TIP -

ADDRESS 칠곡군 석적읍 석적로 226

TEL 054-975-9155

  • 이용시간 3월~10월 : 09:00~18:00 / 11월~2월 : 09:00~17:30 / 설날 및 추석 명절 휴관
  • 요금정보 무료
  • 주요목적 추모, 관람
  • 편의시설 주차장, 화장실

소개

왜관전적기념관 사진2
석적읍 중지리 낙동강변에 위치한 이 기념관은 6·25전쟁 당시 벌어졌던 왜관지구전투를 기념하고자 건립되었으며 6개의 전시장에는 당시 사용되던 무기류와 피복 등이 전시되어 있다. 1950년 8월 1일, 워커 미 제8군사령관은 낙동강 방어선(일명 워커라인)을 구축했다. 그에 따라 8월 3일 왜관 주민에 대한 소개령이 내려졌고, 낙동강 방어선의 교량들은 적의 도하 방지를 위해 8월 4일 새벽까지 모두 폭파되었는데 이때 왜관철교도 폭파되었다. 8월 16일 북한군 4만여 명이 집결해 대규모 도하작전을 벌이자, 워커 중장은 일본에 있는 맥아더 원수에게 융단 폭격을 급히 요청하게 된다. 이 요청에 따라 일본에서 이륙한 B-29 폭격기 98대가 약목, 북삼 일대에 26분 동안 960톤의 폭탄을 투하했다. 이 융단 폭격으로 북한군 진지는 초토화되었다. 당시 북한군 야포의 사정거리는 20㎞인 반면, 왜관에서 대구까지는 25㎞가 넘었다. 왜관을 빼앗길 경우, 대구는 북한군 야포의 사정권 안에 들어가게 되며 부산까지 밀릴 수 있는 상황이었다. 이것이 바로 유엔군이 왜관 일대의 낙동강 방어선을 필사적으로 지키려고 한 이유였다. 이렇게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는데 당시의 아픈 기억이 남아 있는 곳이 왜관철교와 자고산(303고지)이다. 왜관철교의 폭파된 두 번째 경간은 1950년 10월 총반격 때 침목 등으로 긴급 복구한 후 계속 통행에 이용하다가 노후되어 1979년 11월부터는 통행을 전면 차단하였다. 이 다리를 관리하는 철도청에서는 철거를 검토하였으나, 호국의 상흔을 간직한 다리를 보존하자는 군민들의 의사를 수렴하여 칠곡군이 무상 관리 승인을 받고 1991년 8월 29일부터 1993년 2월 26일까지 도비 4억, 군비 2억 1천만 원을 들여 복구하고 준공식 때 '호국의 다리'로 명명하였다. 그리하여 현재는 많은 사람들이 호국정신을 되새기며 통행과 휴식의 공간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자고산(303고지)은 낙동강을 도하한 북한군과 교전한 곳일 뿐만 아니라, 미군 장병들이 북한군에게 비참하게 학살된 곳이기도 하다. 1990년 왜관의 캠프캐롤 부대(주한 미 육군 군수지원처, 1960년부터 왜관 주둔)에 근무하던 미군 소위 David Kangas가 미 육군 기록에서 자고산(303고지)에서의 학살 사건을 조사한 결과, 당시 미 제1기병사단 제5기병연대 장병 45명이 북한군에게 포로로 잡혀 끌려다니다가 그중 41명이 학살된 사실과 그 명단을 밝혀냈다. 이에 전 부대원과 한국인 종업원들이 성금을 모아 1990년 6월 부대 내(사령부 앞)에 추모비를 세우고 학살된 날을 기리고자 같은 해 8월 17일 제막하였다. 현재 자고산(303고지)은 흥국사 절과 약수터, 체육시설이 있어 칠곡군 주민이 즐겨 찾는 산이지만 1950년 8월에는 폭염 속 꽃다운 젊은 생명들이 쓰러져 간 곳이기도 하다. 당시의 피로 물든 낙동강은 오늘도 말없이 흘러가고 있지만 격전지를 바라보는 낙동강변에는 전쟁에서 희생된 고귀한 피의 발자국을 영원히 기억하고자 왜관지구전적기념관이 건립되어 관람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왜관전적기념관 사진3
왜관전적기념관 사진4

위치안내 지도영역 건너뛰기

주소정보
칠곡군 석적읍 석적로 226

관광지 주변정보

TOP
페이지 만족도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