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신생아 건강관리지원
지원대상
관내에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 등록을 둔 출산 가정
- 단, 부부 모두가 외국인인 경우 각 국내 체류자격 비자(사증) 종류가 F-2(거주), F-5(영주), F-6(결혼이민)인 경우에 한함
지원기준
- 가형: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통합형: 기준중위소득 150%이하(2021.05.22.시행)
- 라형: 기준중위소득 150%초과(예외지원)
- 희귀질환·중증난치질환 사모, 장애인 산모 또는 장애 신생아, 셋째아 이상 출산가정, 새터민 산모, 결혼이민 산모, 미혼모 산모(만 24세 이하의 모)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판정기준표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액 기준, 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 )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가구원수 | 기준중위소득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2인 | 150%이하 | 4,890,000 | 171,393 | 175,541 | 173,710 |
3인 | 150%이하 | 6,262,000 | 223,722 | 242,987 | 227,649 |
4인 | 150%이하 | 7,682,000 | 272,614 | 303,435 | 279,532 |
5인 | 150%이하 | 9,037,000 | 319,763 | 354,661 | 334,652 |
6인 | 150%이하 | 10,361,000 | 370,489 | 408,122 | 398,320 |
7인 | 150%이하 | 11,671,000 | 434,898 | 472,366 | 473,200 |
8인 | 150%이하 | 12,981,0000 | 473,200 | 511,899 | 511,709 |
9인 | 150%이하 | 14,292,000 | 511,709 | 549,554 | 567,870 |
10인 | 150%이하 | 15,602,000 | 567,870 | 602,760 | 663,895 |
- 가구원수 포함 대상: 출생 신생아(태아 포함), 산모, 배우자, 미혼 자녀, 산모 또는 배우자와 주민등록과 건강보험 둘 다 함께 등재된 가족
- 맞벌이 부부: 부부 중 낮은 건강보험료 1/2 감경한 뒤 합산
- 소득판정 기준표 적용기간: ‘22. 1. 1. 시행
지원기간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태아 유형 | 출산 순위 | 서비스 기간 | ||
---|---|---|---|---|
단축 | 표준 | 연장 | ||
단태아 | 첫째아 | 5일 | 10일 | 15일 |
둘째아 | 10일 | 15일 | 20일 | |
셋째아 이상 | 10일 | 15일 | 20일 | |
쌍태아 | 둘째아 | 10일 | 15일 | 20일 |
셋째아 이상 | 15일 | 20일 | 25일 | |
삼태아이상, 중증장애산모 |
구분 없음 | 15일 | 20일 | 25일 |
- 바우처 지원기간 : 태아 유형, 출산 순위에 따라 서비스기간 선택
- 바우처 유효기간: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60일이 경과되면 이용권 소멸, 미숙아 등으로 입원한 경우 별도 문의)
2022년 서비스 가격 및 정부지원금 (단태아 기준)
(단위 : 천원)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분(단태아) | 서비스 기간(일) | 서비스 가격 | 정부지원금 | 본인부담금 | ||||||||||
---|---|---|---|---|---|---|---|---|---|---|---|---|---|---|
단축 | 표준 | 연장 | 단축 | 표준 | 연장 | 단축 | 표준 | 연장 | 단축 | 표준 | 연장 | |||
첫째아 | A-가-➀형 | 자격확인 | 5 | 10 | 15 | 624 | 1,248 | 1,872 | 549 | 942 | 1,276 | 75 | 306 | 596 |
A-통합-➀형 | 150% 이하 | 485 | 833 | 1,128 | 139 | 415 | 744 | |||||||
A-라-➀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388 | 667 | 904 | 236 | 581 | 968 | |||||||
둘째아 | A-가-➁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1,248 | 1,872 | 2,496 | 1,127 | 1,450 | 1,746 | 121 | 422 | 750 |
A-통합-➁형 | 150% 이하 | 995 | 1,281 | 1,542 | 253 | 591 | 954 | |||||||
A-라-➁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797 | 1,027 | 1,236 | 451 | 845 | 1,260 | |||||||
셋째아 이상 |
A-가-➂형 | 자격확인 | 10 | 15 | 20 | 1,248 | 1,872 | 2,496 | 1,170 | 1,505 | 1,811 | 78 | 367 | 685 |
A-통합-➂형 | 150% 이하 | 1,032 | 1,329 | 1,600 | 216 | 543 | 896 | |||||||
A-라-➂형 | 150% 초과 (예외지원) |
826 | 1,065 | 1,283 | 422 | 807 | 1,213 |
신청기한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30일 이내 신청
-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증으로 입원한 경우 신생아의 퇴원일로부터 30일 이내(입·퇴원일이 명시된 진단서, 의사소견서, 입퇴원 확인서 등 첨부)
-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사산의 경우 확인일로부터 30일 이내(의산 소견서·확인서 또는 사산증명서 첨부)
신청방법
- 보건소·보건지소 방문 신청 또는 온라인 신청(www.bokjiro.go.kr)
구비서류
- 신분증
- 출산(예정)일 증빙서류: (출산 전)산모수첩 또는 의사진단서(소견서), (출산 후)출생증명서
- 가족관계증명서
- 부부 또는 자녀가 주민등록상 따로 등재된 경우, 국제결혼자의 경우 제출
- 필요시 재직증명서(휴직기간 표시), 최근월분 급여명세서 등 서류요청 가능
제공기관
-
구 분칠곡군 관내
-
업체명칠곡여성인력개발센터
-
전화번호054-973-7016
- 이용자가 원하는 제공기관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기타 제공기관 검색은 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www.socialservice.or.kr)에서 검색 가능
- 검색방법: 서비스검색- 제공기관검색- 시군구 조회- 사업구분: 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 체크
문 의
- 출산지원담당 ☎ 979-8253